치유농업해외사례
1. 노르웨이
정부부처인 농리미부와 관련위원회, 지방자치단체가 중심
유치원 방과후 학교프로그램, 특수아동및 치매노인 등을 대상으로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
치유농업관련 학사학위, 교육및 치유농업서비스, 평생교육차원의 교육제공
조직-정부부처 통합위원회구축/ 주관 :농림부/ 참여: 교육연구부, 사회부, 보건아동가족부, 지역개발부
제도- 치유농업자문제도 운영/ 품질관리및 보증제도운영/ 치유농장 협약제도 운영및 관련된 정책및 전략추진
ㄴ녹색치유위원회
법- 중앙정부 재정지원/ 지방정부재정지원
2. 네덜란드
1999년 국가지원센터에서 시작
치유농업경영자를 위한 전국적인 연합형성
조직-가정지원과돌봄/ 노인돌봄/아동학대방지정책/ 주거돌봄/청소년정책
제도- 사회지원법/ 장기요양법/청소년보호법/건강보험법
3. 벨기에
2000년부터 치유농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전개
지역발전계획 2000-2006을 수립
치유농업지원센터 설립(민간기관)
조직- 정부부처지원/ 국가 지원기관 설립및 운영
4. 영국
국가치유농업계획 수립
주요대상자: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는사람, 우울증, 학습장애자, 자폐증아동, 마약이나 알코올중독자, 반항적아동, 보호관찰이 필요한 사람
제도-치유농업기관 피트너십구축/ 치유농업위원회운영
5. 프랑스
치유농장 확대및 네트워크 구축/ 치유농업제공자 교육훈련/ 국가및 지방 정부의 공공지원금 추진/ 비용에 대한 지방정부보조
6. 독일
400개 병원과 사회재활센터/ 180여개 커뮤니티 약 500여개 녹색 작업장에 건강보험 직업병 치료 항목에서 예산지원
7. 이탈리아
지역보건단체, 영농조합, 농장주, 협회 등 협력체계 및 연구를 지방정부가 지원/ 사회통합과 복귀를 위한 교도소 등 일부 국가지원 법률제정(2015), 전문인력(대학원과정)
8. 일본
농업의 복지.치유기능 주목/ 장애인 고용/ 취업,재활/ 노인복지중점/ 국가농림수산정책포함/ 국가 연구기관에서 효과분석/ 토직 공무원을 코디네이터로 양성추진(jA 협업)